로켓리그 핑 현황 및 멀티플레이 환경 분석
로켓엔진 차량으로 축구 하는 게임! 로켓리그는 최근 몇년간 스팀 통계 상위권에 자리잡고 있는 게임입니다. 한국에서는 멀티플레이와 관련된 몇가지 염려 때문에 주저하는 분들이 계실텐데요. 직접 플레이하면서 수집한 정보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로켓리그의 멀티플레이는 8개 지역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그 중 2개는 아시아지역입니다.
매칭 검색을 시작하면 검색 과정의 상세 정보를 유저에게 알려줍니다. 1. 플레이어가 선택한 지역에서 동일 스킬 레벨의 플레이어들을 먼저 찾고 2. 적합한 매칭 상대가 없을 경우 더 넓은 스킬 레벨의 플레이어들을 검색하며 3. 그럼에도 적합한 매칭 상대가 검색되지 않으면 모든 지역으로 검색 대상을 확대합니다. 이 과정들이 그림에서처럼 로그로 상세히 표시 되는 점이 좋았고 매칭 방식 역시 합리적이라고 느껴졌습니다.
핑은 100이하 또는 100대인 경우도 더러 있었으나 유럽이나 북미 유저들과 매칭이 되는 경우가 많아서인지 주로 200 이상의 핑에서 플레이해야 했습니다.
아래 그림은 게임을 처음 시작하고 경쟁전과 일반전, 각 모드를 경험해 보면서 순서대로 찍은 20게임의 스샷입니다. 이름 중 하얀 네모 두개가 필자입니다. 한국 서울에서 접속.
아주 미세한 딜레이나 속도 차이가 중요한 요인이 될 만큼 치열한 경쟁전 상위 집단에서는 어떨지 모르겠습니다만, 초심자가 단순히 플레이를 경험해보는 과정에서는 속도나 핑이 게임을 즐기는데 큰 지장을 주지 않았습니다. 높은 핑에도 불구하고 움직임이 부드러웠으며 딜레이가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로켓리그의 멀티플레이는 크게 경쟁전(Competitive, 랭크전)과 비경쟁전(Playlists)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매칭을 검색할 때 복수의 게임 모드를 선택하여 검색할 수 있으며 게임모드를 많이 선택할수록 매칭에 걸리는 시간이 짧아집니다. 단, 경쟁전의 게임모드와 비경쟁전의 게임모드를 동시에 선택할 수는 없습니다.
비경쟁전 모드
5월 7일 일요일 밤 10시경 총 180,551명의 인원이 접속중이었는데, 모드별 인구비중은 아래와 같았습니다.
비경쟁전
Duel - 1,738
Doubles - 12,439
Standard - 12,918
Chaos - 2,293
Snow Day - 790
Rocket Labs - 438
Hoops - 1,211
Rumble - 5,412
Dropshot - 1,756
경쟁전
Solo Duel - 4,545
Doubles - 24,258
Solo Standard - 4,172
Standard - 11,407
유저들은 주로 경쟁전과 비경쟁전의 2대2 대전과 3대3 대전을 플레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참고로 측정일인 5월 7일은 스팀에서 프로모션으로 주말 무료 플레이를 개방하던 시점이었습니다. 접속인원이 평소보다는 약간 더 많았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직접 접속하여 체감한 로켓리그의 멀티플레이 환경을 정리하자면 이렇습니다.
1. 핑은 높다. 그러나 간간히 중저 핑의 게임도 잡힌다.
2. 높은 핑이 크게 영향을 주는 것 같지는 않다. 높은 핑이 즐겜하는데 별로 문제되지 않았다. 다만 상위 랭크를 노리는 플레이어라면 고민해볼 문제일 수 있다.
3. 핑 보다는 팀원간의 실력 격차가 더 큰 체감요소이다. 적이나 아군에 있는 고수 플레이어에 의해 승패가 결정되는 경우가 많았다.
4. 인원수가 적을 수록 비슷한 실력의 유저들끼리 매칭 될 확률이 높았으며 비슷한 실력의 유저들끼리 경쟁할 때 게임이 훨씬 재밌었다.
1. 지역(Region) 구분
로켓리그의 멀티플레이는 8개 지역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그 중 2개는 아시아지역입니다.
2. 매칭은 어떻게 어떤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가. 매칭 방식은?
매칭 검색을 시작하면 검색 과정의 상세 정보를 유저에게 알려줍니다. 1. 플레이어가 선택한 지역에서 동일 스킬 레벨의 플레이어들을 먼저 찾고 2. 적합한 매칭 상대가 없을 경우 더 넓은 스킬 레벨의 플레이어들을 검색하며 3. 그럼에도 적합한 매칭 상대가 검색되지 않으면 모든 지역으로 검색 대상을 확대합니다. 이 과정들이 그림에서처럼 로그로 상세히 표시 되는 점이 좋았고 매칭 방식 역시 합리적이라고 느껴졌습니다.
3. 한국 유저가 플레이 하기에 핑은 어떤가
아쉬운 점은 1단계나 2단계에서 매칭 상대가 검색되는 경우가 드물었다는 점입니다. 게임 모드별로 차이는 있겠으나 대부분은 3단계가 되어서야 매칭이 되었습니다.핑은 100이하 또는 100대인 경우도 더러 있었으나 유럽이나 북미 유저들과 매칭이 되는 경우가 많아서인지 주로 200 이상의 핑에서 플레이해야 했습니다.
아래 그림은 게임을 처음 시작하고 경쟁전과 일반전, 각 모드를 경험해 보면서 순서대로 찍은 20게임의 스샷입니다. 이름 중 하얀 네모 두개가 필자입니다. 한국 서울에서 접속.
4. 핑이 높으면 플레이하기 힘든가?
전반적으로 높은 핑이었지만 생각외로 플레이하는데 크게 불편함을 느끼진 못했습니다. 다른 멀티플레이 게임에서 핑이 높으면 나타나는 현상들, 예를 들어 렉걸림, 느려짐, 버벅거림, 움직임 반복, 키입력과 유닛 움직임 사이의 딜레이 등의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습니다.아주 미세한 딜레이나 속도 차이가 중요한 요인이 될 만큼 치열한 경쟁전 상위 집단에서는 어떨지 모르겠습니다만, 초심자가 단순히 플레이를 경험해보는 과정에서는 속도나 핑이 게임을 즐기는데 큰 지장을 주지 않았습니다. 높은 핑에도 불구하고 움직임이 부드러웠으며 딜레이가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5. 게임 모드는 다양한가? 유저들은 주로 어떤 모드를 플레이하는가
로켓리그의 멀티플레이는 크게 경쟁전(Competitive, 랭크전)과 비경쟁전(Playlists)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매칭을 검색할 때 복수의 게임 모드를 선택하여 검색할 수 있으며 게임모드를 많이 선택할수록 매칭에 걸리는 시간이 짧아집니다. 단, 경쟁전의 게임모드와 비경쟁전의 게임모드를 동시에 선택할 수는 없습니다.
비경쟁전 모드
- Duel - 1 vs 1
- Doubles - 2 vs 2
- Standard - 3 vs 3
- Chaos - 4 vs 4
- Snow Day - 3 vs 3. 축구공 대신 하키 퍽으로 게임이 진행된다. 3 vs 3.
- Rocket Labs - 다양한 변형 맵에서 게임이 진행된다. 3 vs 3.
- Hoops - 축구골대 대신 농구골대에 골을 넣는 모드. 골대가 솟아있으므로 공을 높이 튕겨서 넣어야 한다. 2 vs 2.
- Rumble - 정해진 시간마다 특수한 능력을 사용할 수 있는 모드. 3 vs 3.
- Dropshot - 경기장 바닥을 부순 후 무너진 바닥에 공을 넣는 모드. 3 vs 3.
- Solo Duel - 1 vs 1
- Doubles - 2 vs 2
- Solo Standard - 3 vs 3. 솔로 유저들끼리 팀을 맺는 방식.
- Standard - 3 vs 3
5월 7일 일요일 밤 10시경 총 180,551명의 인원이 접속중이었는데, 모드별 인구비중은 아래와 같았습니다.
비경쟁전
Duel - 1,738
Doubles - 12,439
Standard - 12,918
Chaos - 2,293
Snow Day - 790
Rocket Labs - 438
Hoops - 1,211
Rumble - 5,412
Dropshot - 1,756
경쟁전
Solo Duel - 4,545
Doubles - 24,258
Solo Standard - 4,172
Standard - 11,407
유저들은 주로 경쟁전과 비경쟁전의 2대2 대전과 3대3 대전을 플레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참고로 측정일인 5월 7일은 스팀에서 프로모션으로 주말 무료 플레이를 개방하던 시점이었습니다. 접속인원이 평소보다는 약간 더 많았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직접 접속하여 체감한 로켓리그의 멀티플레이 환경을 정리하자면 이렇습니다.
1. 핑은 높다. 그러나 간간히 중저 핑의 게임도 잡힌다.
2. 높은 핑이 크게 영향을 주는 것 같지는 않다. 높은 핑이 즐겜하는데 별로 문제되지 않았다. 다만 상위 랭크를 노리는 플레이어라면 고민해볼 문제일 수 있다.
3. 핑 보다는 팀원간의 실력 격차가 더 큰 체감요소이다. 적이나 아군에 있는 고수 플레이어에 의해 승패가 결정되는 경우가 많았다.
4. 인원수가 적을 수록 비슷한 실력의 유저들끼리 매칭 될 확률이 높았으며 비슷한 실력의 유저들끼리 경쟁할 때 게임이 훨씬 재밌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