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단기 금리 역전 이해하고 활용하기

장단기금리역전(inverted yield curve)은 동일한 신용 조건에서 만기가 짧은 채무상품의 수익률이 만기가 긴 채무상품의 수익률보다 높아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수익률곡선(yield curve)은 다양한 만기의 미국 국채에 대한 수익률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미국 재무부에서는 다양한 만기로 채권을 팔고 있는데요.

  • 1개월, 2개월, 3개월, 6개월. 이렇게 1년만기 미만의 채권을 bill이라고 표현하여 Treasury Bills 또는 살짝 줄여서 T-bills 라고 하고요.
  • 1년, 2년, 3년, 5년, 10년. 1년 ~ 10년 만기 채권은 note라고 표현하여 T-notes 라고 부르며
  • 30년 만기 채권은 bond라고 써서 T-bonds 등으로 부릅니다.

영어에서의 명칭은 만기별로 다르지만 한국에서는 동일하게 채권이라고 표현합니다. 2년만기 미국채, 10년만기 미국채 이런식으로요.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단기일수록 덜 위험하고 먼 미래일수록 불확실성이 커지기 때문에 이를 반영하여 단기 채권의 수익률은 낮고 장기 채권의 수익률은 상대적으로 더 높습니다. 더 오래 투자할수록 채무자가 상환하지 않을 위험에 대한 보상을 더 많이 받아야 한다는 것이죠. 투자자들의 이같은 의식이 수익률 곡선에 반영되어,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만기가 길어지고 수익률이 증가함에 따라 그래프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기울어집니다.

그림1. 쉽게 말해 각각의 만기의 수익률을 선으로 연결한 것이 수익률 곡선(yield curve)입니다.

채권 투자자들이 인플레이션 등에 큰 변동없이 경제가 정상적인 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할 때 이러한 모양의 수익률 곡선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곡선이 일반적인 형태를 벗어나면서 경제의 잠재적인 전환점을 알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금리역전 곡선에서는 단기채의 수익률이 장기채의 수익률보다 높아집니다. 금리 역전은 매우 드문 일이기 때문에 금융에서는 매우 주목을 받는 현상 중 하나이며, 이같은 현상은 종종 경기 침체의 임박을 나타내는 비정상적인 상황으로 여겨집니다.

그림2

그렇다면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가. 수익률 곡선이 반전되는 것은 투자자들이 단기적인 관점에서 경제에 대해 확신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투자자들은 장기투자보다 단기투자에 더 많은 수익률을 요구합니다. 투자자들은 먼 미래보다 가까운 미래를 더 위험한 것으로 인식합니다. 투자자들은 수익률이 낮더라도 장기 채권을 구매하여 자신들의 돈을 수년간 묶어두는 것을 선호합니다. 투자자들은 경제가 단기적으로 악화되고 있다고 생각할 때에 이러한 행동을 할 것입니다.

그림3. 미국 10년만기 국채와 3개월 만기 국채의 금리 차를 이용한 뉴욕 연준의 미국 경기침체 확률 모델

이 지표는 경기침체를 예측하는데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유명합니다. 경제학자 Campbell Harvey의 1986년 논문은 역전된 수익률 곡선이 미국의 경기 침체를 정확하게 예측함을 보여 주었습니다. 역전된 수익률 곡선은 1970년 이후로 7번의 경제 상황 악화 신호를 보냈습니다. 또한 뉴욕 연방준비은행은 이 지표를 를 2분기 ~ 4분기 앞서서 경기침체를 예측하는 유용한 예측도구로 간주합니다.

그 밖에 더 깊이 들어가면 만날 수 있는 문제들. 이 지표는 100% 믿을 수 있는 것인가. 정상적인 수익률 곡선과 역전된 수익률 곡선 이외의 다른 형태의 곡선들이 의미하는 것. 수익률 곡선이 역전되기 전에 보여주는 전조 현상들 등등. 이런 심오한 내용들은 학자분들이나 투자자분들께 맡기도록 하고요. 여기서는 지표를 확인하는 방법 정도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림4. 미국 재무부 사이트에서 매일매일 알려주는 만기별 금리. 아래에 링크해 두었어요.

그림5. 이를 선으로 연결해서 시각화해 보여주는 사이트. 이것도 링크해 두었어요.

먼저, 미국 재무부 사이트에서 만기별 국채들의 수익률을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날그날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수치 자료이기 때문에 직관성이 다소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고요.  시각적인 자료가 필요하다면 수익률을 곡선으로 표현해주는 사이트를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Daily Treasury Yield Curve Rates
U.S. Treasury Yield Curve - gurufocus.com

더 보편적인 방법으로는 장기국채와 단기국채의 금리 차(스프레드) 측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물론 우리가 직접 측정하는 것은 아니고 측정된 것을 보자는 것이지요.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언론등에서도 자주 언급되는 것은 10년만기국채와 2년만기국채의 수익률 차이 또는 10년만기국채와 3개월만기국채의 수익률 차이입니다. 보통 장단기국채금리 스프레드라고 하는데요.

그림6

스프레드 그래프의 곡선이 상승하면 우상향의 수익률 곡선은 가팔라집니다. 즉, 2년물과 10년물 수익률의 차이 또는 스프레드가 증가하고 있음을 의미하고요. 스프레드 그래프의 곡선이 하향하면 수익률 곡선이 평평 해집니다. 즉, 2년 및 10년 수익률의 차이가 감소함을 의미합니다.

그래프의 선이 0 아래로 내려 가면 수익률 곡선이 "반전 됨"을 의미합니다. 앞에서 얘기했던, 단기 채권이 장기 채권보다 수익률이 높은 매우 드문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므로 이런 경우엔 특별히 관심을 갖고 지켜봐야겠죠.

장단기 국채 금리 스프레드는 연준에서 시각화된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언제든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림7. 10년물-2년물 금리 스프레드 검색 방법

그림8. 10년물-3개월물 금리 스프레드 검색 방법

세인트루이스 연준 사이트에 들어가셔서 'yield curve'로 검색하시면 [10년물-2년물] 또는 [10년물-3개월물]을 찾으실 수 있고요. 약자로 'T10Y2Y'나 'T10Y3M'를 입력하셔도 검색 결과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 본문의 각 이미지들은 클릭하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할로우 나이트 한글 지도

할로우 나이트 꿈의 정수 모으기

할로우 나이트 꽃배달 최적 루트